Following the post, “The End of OhmyNews Japan” by the Japanese editor, Hanako, I was curious how Korean bloggers talk about the failure of OhmyNews Japan. Many bloggers have analyzed the success of OhmyNews Korea and have been keen on changes in ONK, which is regarded as the godfather of citizen journalism. OhmyNews Korea is still a powerful citizen media organization. Since the failure of OhmyNews Japan was announced and the new plan came out, I found several Korean bloggers who have responded.
Luuu studies the failure of OhmyNews Japan.
한국 오마이 뉴스를 모델로 일본에서 2년전(2006년 8월 30일)시작된 오마이뉴스가 사실상 기존 모델을 변경해서 오마이 라이프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바뀝니다(2008년 9월 1일). 오마이뉴스가 인터넷 미디어사에서 끼친 영향은 지대해서 세계 각국의 관심이 지속되고 있으며 올해 북해도에서 열린 G8서미트에서도 시민뉴스사이트가 선주민등 소수자의 인권을 개선시키는데 많은 공헌을 했다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일본 요미우리 신문에 따르면 2006년 시작하면서 1년내에 시민기자를 5,000명까지 확보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만 2008년 8월 현재도 4650명 정도인 상태이며 이마저 기자의 질이 안정적이지 않을 상태라고 합니다. 그리고 기사 열람 횟수도 목표인 연간 2억건에 크게 못 미치는 1,000만건에 그치고 있습니다.
더 큰 실패의 길로 가는 일본 오마이뉴스
일본 오마이의 히라노 편집장은 그 원인으로서 ‘블로그’가 대세가 되면서 자신의 의견을 쓰고 싶은 사람들이 대거 블로그로 몰려간 것이 큰 원인인 것 같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새로운 “오마이 라이프”는 기업과의 타이업도 적극적으로 하고 신상품 소개등 일본인의 생활과 밀접한 사이트가 되도록 하겠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물론 수익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히라노 편집장의말과 같이 블로그를 하면서 구글의 애드 센스를 달아 놓는 것이 더 매력적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블로그 대세라 시민뉴스사이트가 어렵다는 것은 완전히 수긍하기 어려운 면이 있습니다. 또 하나 일본인의생활과 밀접한 그런 사이트를 지향한다면 아마도 일본에서 넘쳐나는 그냥 그런 사이트 중의 하나가 되고 말지 않을가 우려됩니다.
한국과 다른 일본, 타겟과 의제를 다르게 설정했어야
일본분들중 일본은 한국과 같이 정치에 높은 관심을 가진 사람이 없어서 오마이가 고전을 한 것이라고 말하는 분들도 계시는 것 같습니다. 이건 그렇지 않다고 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을 만든 공이 오마이뉴스에 있다고 이야기할 정도이니까요. 하지만 저는 오마이 뉴스는 한국의 진보적이며 사회주의적(우리나라에서는 이상하게 해석되지만 결국 가능한한 더 많은 사람이, 동물이, 자연이 같이 행복하게 살자고 생각하는)인 성향의 사람들이 열광하며 지지하며 자신의 목소리를 더했기에 성공이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이들의 관심은 비단 정치 뿐만이 아니라 불합리한 사회관행, 소외된 사람들, 새로운 지구적 키워드인 환경문제에도 높은 관심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사람 사는 이야기”에 많은 응원을 아끼지 않았죠. 지금은 오마이가 “사람사는 이야기”를 너무 등한시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불만이 있습니다.이런 오마이 뉴스가 가능했던 것은 한국적 상황에서 그런 미디어에 대한 니즈를 같이 느끼며 살아온 오연호 대표가 있었기에 가능했었습니다.
반면 일본 오마이 뉴스는 한국에서 성공에 고무된 일본측 사람들과 한국오마이의 “이렇게 하니 성공하더라”라는 케이스스터디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진정 지금의 일본인들이 절실히 바라는 미디어의 성격을 찾지 못한 것으로 보입니다.일본 오마이뉴스의 타겟은 누구로 할 것이며,그 타겟의 시장은 어느 정도 일지에 대한 구체적이고 인사이트 있는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한국의 모델을 일본화 시키는 것에 주력했던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새롭게 변신하는 오마이라이프는 또 다시 이런 실패를 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광고유치가 쉬운, 기업과 타이업하기 쉬운 그런 형태의 사이트를 벤치마케팅해서 그리 달려가는 것은 아닌지 심히 우려됩니다.
OhmyNews Japan , going down the road of bigger failure.
Hirano, Chief-Editor of Ohmynews Japan, says the reason why it failed is because of the general trend of “blogs” – people who would like to write about their own opinions choose blogs. He adds that the new “Oh!myLife” will actively work with enterprises and will become a site that is close to Japanese lives, such as introducing new products. Of course if you look at profits, using Google AdSense would be more attractive while combining blogs as Hirano mentioned. However, it is hard to completely understand that because of the popularity of blog a citizen news site is hard operated. In addition, if they will incline to a site that is close to Japanese lives, I am afraid that it will not be so much different from many other sites in Japan.
Japan is different from Korea. It should have had different targets and topics.
Some Japanese analyze the reason why OhmyNews Japan has hard time is because Japanese are not interested in politics as much as Koreans are. Maybe it could be possible. Some say that OhmyNews contributed to making Roh Moo Hyun become the President. Ohmynews Korea was possible to succeed because people who have the strong progressive and socialist (socialism is distortedly interpreted in Korean society, but it is possibly many more people, animals, and nature can live happily) tendencies supported and gathered their voices in the site. Interests that those people have are about illogical social practice, isolated people, and environment. And they supported “stories about peoples’ lives.” There is dissatisfaction that now OhmyNews is getting to disregard “stories about peoples’ lives.” The reason why OhmyNews was successful was because of the CEO, Oh Yeon Ho, who recognized such a media is needed in Korea.
On the other hand, OhmyNews Japan started with Japanese who were encouraged by the success of OhmyNews Korea and Koreans with a case study of OhmyNews Korea. Therefore, they couldn’t find what kind of media will be needed in Japan. Who will be the targets for OhmyNews Japan and how big the market will be… these detailed and inside analyses were not conducted enough and it seems that it applied the Korean model to Japanese. I hope that the new Oh!myLife doesn’t repeat this failure. However, I am also worried that it will turn to be a common site that is easy to work with enterprises and to have advertisements.
Nihon thinks that stepping in the Japanese Internet market is not easy.
일본에 오마이 뉴스가 2006년 8월 28일에 진출 했을 때는 굉장한 관심을 받았는데 오마이 뉴스가 9월 1일자로 오 마이 라이프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기사를 찾아보니 일본에서 정착하는데 있어서 실패했나보다. 일본의 오마니 뉴스에 대해서 위키백과를 찾아보니까. 작년 7월말에 경영 악화로 전사원을 해고했다고 나온다. 역시 나라마다 특성이 있어서 그런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우리나라의 서비스가 일본에서 실패한 것이 조금은 서운하다. 네이버도 일본에 들어왔다가 실패하 것을 보면 우리나라 웹 문화와 일본 웹 문화가 틀리기는 틀린가 보다. 하기야 민족이 틀리고 문화가 틀리니까 웹 문화가 틀린 것도 당연하겠지만… 네이버는 철회했어도 한게임은 일본에서도 꽤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런 것을 보면 노는 것에는 어느 정도 공통점이 있는 것일까? ^^
Linegang shows a detailed analysis of changes of OhmyNews since the establishment and talks about the new power, blogs.
[…]- 블로그의 힘, 오마이뉴스 블로그 인수하다
블로그가 기존 홈페이지와 달리 1인매체로 강력한 힘을 가진 이유는 크게 두가지로 모아집니다.첫째 쉬운 글쓰기로 블로그를 기록매체로 활용가능, 둘째 수평적 네트워크 기능 활용 입니다. 블로그의 개방성이 이룩한 성과중의 하나인 수평적 네트워크의 의미는 ‘① 개인대 개인으로 이뤄지는 자료수집 배표형태의 출현 ② 포털이나 검색사이트가 없어도 개인자료의 홍보 배포가 가능 ③ 뉴스공급원과 배포처로 1인 매체의 역할 가능’ 등입니다. 2005년에 타임지가 선정한 세계 50대 사이트에는 블로그가 뉴스와 정보 쇼핑 엔테테인먼트 생활분야와 함께 다섯분야의 하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시민참여 저널리즘'의 선두주자로 인터넷미디어 시장에 안착한 오마이뉴스도 심각한 위기의식(?)하에 인터넷KTX시장에 참여합니다. 일간지나 포털에 비해 상대적으로 늦었지만, 블로그가 지닌 전략적 가치를 인정, 메타블로그 서비스 ‘블로그코리아'를 인수한 것입니다.[…]블로그 서비스 참여가 늦었어도 당시로서는 3만명이 넘는 시민기자를 확보하고 있어 경쟁사에 비해 상대적인 위협적인 잠재력을 갖출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블로그의 시대가 도래하다
기자들의 수난시대가 되었습니다. 블로그 열풍이 불기 시작하면서 기존 일간지들은 회사 차원에서 취재기자들에게 블로그를 운영할 것을 지시합니다. 모 일간지는 블로그의 운영실적은 포상금은 물론 인사평가의 자료로 삼겠다면서 압박할 정도였으니까요. 중앙일간지 기자로 일하고 있는 한 친구는 술자리에서 하소연합니다. “전문성? 인터넷 찾아보면 웬만한 내용은 다 나온다. 속보성? 인터넷매체등을 다 올린다. 시민기자는 옛날 얘기다. 블로거들 때문에 못살겠다. 특종은 못하더라도 오보만 내지않아도 다행이다. 기사마감하고나면 취재원과 술잔을 기울였지만 블로그에 업데이트해야하는 부담이 심각하다.” 미디어순위 사이트가 그러하듯이 지속적인 콘텐츠업데이트와 관리가 줄기차게 수반되지 않는 이상 여간해선 블로그 순위 진입이 어렵다는 것이 블로그생태계의 정평입니다. 국내 대표적인 메타블로그 사이트 ‘올블로그’(http://www.allblog.net/)가 지난해 상반기에 양질의 콘텐츠를 생산한 100명의 블로거를 발표했었습니다. 기존 언론매체의 기자가 5명, 미디어다음의 블로거 기자단 소속 블로가가 7명이나 포함되었지만, 오마이뉴스 블로거(이른바 오블)는 눈에 띄지 않습니다.[…]- 시민기자와 블로그의 관계
이런 와중에 오마이뉴스 블로그에서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요? ‘오블'에 대한 네티즌의 평판은 사실 그리 나쁘지 않았습니다. 인터넷이라는 매체 자체가 지닌 진보성에 ‘열린 진보언론'을 표방한 오마이뉴스 브랜드에 대한 네티즌의 호감이 더해지니 오블 참여가 활성화되지 않는 것이 도리어 이상할 지경입니다. 이른바 ‘땅짚고 헤엄치기'니까요.[…]아직까지 블로그를 바라보는 오연호 대표의 시각은 ‘오마이뉴스의 성공신화'에 사로잡혀있습니다. 성공한 창업자들이 그러하듯이 ‘하면 된다'는 신념이 모든 의사결정에 내재된 것처럼. 그간 오마이뉴스가 거둔 빛나는 성취는 오대표의 신념을 굳건하게 해줄 법도 하지만 온갖 변수가 상존하는 한국의 인터넷미디어 시장은 그렇게 만만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수많은 인터넷 기업의 성장과 몰락이 그것을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 오블을 인수하긴 했는데, 제대로 운용을 하지 못했다, 이것이 짧은 정답이겠지요. 왜 그랬을까요? 가장 큰 원인은 ‘선택과 집중의 부재'였습니다. 선택을 하긴 했는데 집중할 수 없는 지지부진한 의사결정구조와 오대표 개인에게로 몰려있는 과도한 업무부담, 회사의 비전에 대한 상근기자 시민기자의 공유의 실패, 무엇보다 가슴 아픈 것은 달라진 미디어환경에 대한 철저한 준비와 실천이 부족한 탓이겠지요.[…]
- 오마이뉴스의 플랫폼은 더이상 진보적이지 않다
한국 인터넷의 최강자 네이버조차 파워블로거를 잡기위해 블로그 광고를, 야후는 파워블로거들에게 활동비 지원을, 다음은 블로거의 명예인 미디어적 영향력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독립형 블로그 사이트들은 물론이거니와 인터넷 서점조차 수익의 일정부분을 블로그와 나누고 있습니다.블로거를 당당한 1인미디어의 발행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입니다.
오마이뉴스의 일개 시민기자가 아니라, 1인미디어의 주체로. 모든 시민들이 기사 한 줄로 사회와 기업•사람을 바꾸거나 혹은 살리고 죽이는 ‘말과 글의 힘'을 서서히 알아가고 있는 중입니다. […]
There are two reasons why blogs are more powerful than any homepages. First, easy writing of blogs leads them to become a medium of recording. Second, it has the function of horizontal network. The meaning of the horizontal network is (1) individuals collect and distribute materials to other individuals (2) regardless of the absence of portal or searching sites, it is possible to advertise and distribute individual materials (3) one person media as news resource and distribution is possible. In the world 50 sites in Times in 2005, blogs were selected as one of five, including news, information shopping, entertainment, and living. OhmyNews, which is the front runner of ‘Citizen Journalism’ in the internet media market, also decided to participate in Internet KTX market feeling aware of the critical moment (?). Even though they’re quite late compared to other daily newspapers and portal sites, they also recognized the strategic value of blogs and undertook a metablog service, ‘Blogkorea.’ […] Even though blog service started late, they already had more than 30,000 citizen reporters at that time, it was expected to be more successful than other competitive companies.
- The New Period, Blogs
It is a hard time for reporters. Since the hot wave of blogs started, the existing daily newspapers ordered reporters to operate their own blogs. Some daily newspaper even gives pressure to reporters that achievements of their own blog operations will be considered for promotion as well as premium. A friend who is working as a reporter in Joongang Daily complained, “Professional? If you check the Internet, you can find those kinds of contents without problems. Speed? You can’t beat the Internet. Citizen journalism is an old story. I can’t live comfortably because of bloggers. It’s fine not to find scoops now unless you don’t make false reports. Before, after finishing your reports, you could go out and drink with other reporters. But now we’re busy updating our blogs.” Like other media sites, unless consistent updating of contents and continual management are not followed, it is hard to survive in blog ranking world. Last year, the most representative meta blog site, ‘www.allblog.net’ selected 100 bloggers who produce good quality and quantity. Of them, five are from media and seven are from a portal site, Mediadaum Blogger Journalists. There was no one from OhmyNews Blogger. […]
-Relations between citizen journalists and bloggers
During these changes, what has happened to OhmyNews Blog (OB)? Netizens’ critics about OB were not that bad. OhmyNews Brand, ‘opened and progressive media’ could help to buy netizens’ favors. That is like ‘swimming on the ground.’ […] CEO of OhmyNews Oh Yeon Ho has perspectives about blogs based on ‘Successful story of OhmyNews.’ As successful business founders have, he has a strong belief, ‘It will come true if you do it.’ However, he looked down on internet media markets in Korea that contain every kind of fluctuation. We can see through continual growths and collapses of internet enterprises.[…] Even though they took over OB, they didn’t manage it well. It is a simple answer. Why? The biggest reason is ‘because of the absence of choices and concentration.’ The company structure that drags decision making and causes distraction, excessive burden to a person, CEO, failure to share the vision of OB between citizen journalists and full-time journalists, and so on. Bu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y were lack of preparing new media environments and practice. […]
- Platform of OhmyNews is not progressive anymore.
The biggest power of the Internet in Korea, Naver has blog advertisements in order to attract power bloggers, Yahoo supports financial activities for power bloggers, and Daum suggests media influence that is the honor to bloggers. Internet book stores as well as independent blog sites also even share parts of the profit with bloggers. That is, they recognize bloggers as publishers of one man media—not just as a citizen journalist of OhmyNews, but as a one man media. ‘The power of speech and writing’ gives the lesson that a line of an article can change society, enterprises, and humans, or can save or kill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