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lobal Voices - https://globalvoices.org -

Korea: Conflicts between Koreans in their 20s and in their 30-40s

Categories: East Asia, South Korea, Education, Protest

Recently, there has been a series of demonstrations that Korean college students have led against the increase in tuition fees. Presidents of college students’ associations got together and tried to hand the letter to President, Lee Myung Bak, directly. Some students have had their heads shaved. The rapid increase, 6.5-9% of tuition fees this time became the target of major criticism from young people. They also criticize the new education policies that the President attempts to start.

An interesting part is how bloggers react to these demonstrations. While some bloggers completely support these demonstrations, others point out that there should be more stable changes of education. Moreover, this demonstration generates interesting arguments between the adult generation (people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who spent their college lives during the peak time of the dictatorship) and those in their twenties.

Cistory is one of the netizens who emphasizes setting up a better alternativ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amount of the tuition fee. His post starts with the title, “College tuition fee is not expensive at all [1].”

대학등록금 절대 비싸지 않다.

70, 80년 대에 대학을 다닌 사람들은 알겠지만, 그 때는 ‘우골탑'이라는 말이 유행했었다. 지금은 아니지만 그 당시에는 대학은 학문을 연구하는 상아탑이라고들 말했었다. 물론 당시에도 취직을 위한 방편이었음은 거론할 필요도 없다. 우골탑은 소의 뼈를 쌓아서 만든 탑이란 뜻이다. 시골에서는 소 한마리가 전 재산이다시피 하던 때에 그 소를 팔아서 자식의 대학 등록금에 보태야 하던 것을 빗댄 말이다. 서민들에게는 그 만큼 많은 돈이 들었다는 의미다.

당시에는 고등학교 한 교실에 60여명 정도가 공부했었는데, 그 중에서 5 ~ 10명 정도가 대학에 진학한 걸로 기억한다. 평균 잡아서 15%라고 보면 될 것 같다.당시 등록금이 학기당 20만 ~ 40만원 정도였던 걸로 기억하는데, 그 액수는 그 나이의 대학생을 가진 가장이 상위 10%의 직장에 다닐 경우에 받던 1달 월급 정도의 액수였다. 지금 등록금이 한 학기에 500여 만원이라고 하는데, 지금도 상위 10%의 직장에 다니는 40대 말에서 50대 중반의 직장인이라면 월봉이 그 정도는 될 것이다.

지금 문제는 등록금이 비싼 것이 아니라, 예전에는 대학에 갈 수 없었던 계층이 모두 대학에 다니기 때문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보인다. 고등학교 졸업생 수보다 대학 입학정원이 더 많다는 기사도 있지 않은가? 물론 전 국민이 대학교육을 받는 것은 좋은 일이다. 지금 문제는 학생들의 대학 등록금을 어떻게 해결해 주어야 하느냐하는 것이다. 유럽의 많은 나라처럼 정부에서 학비의 70 ~ 80%를 보조하든지, 2년 정도는 학자금을 장기 저리로 우선 지원한다든지 하는 논의를 국회에서 해야하는 것이다. 유럽에 비교해 보아도 1인당 교육비로서의 등록금 액수는 절대 많은 것은 아니다.

사안의 본질이 흐려지게 등록금이 비싸다고 하지 말고, 등록금을 어떻게 해결해 줄 것인가를 정치권에서 논의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유럽의 많은 나라에서는 전국민 건강보험 개념처럼, 특별한 형태의 사립대학을 제외하고는 모든 학생이 정부로부터 등록금 혜택을 받는다.[…]

현재의 대학생들과 그들의 부모, 친지들의 절대적인 지지 하에 당선된 것이다. 그런데, 이제와서 등록금이 비싸다니, 정치인들로서는 왠 개 풀 뜯어먹는 소리인가 할 것이다. 반값 등록금? 정치인은 원래 거짓말을 입에 달고 사는 사람들이다. 대통령 임기 내에, 두배 등록금만 안되어도 감사하게 생각해야 할 것이다. 사실 대학교육의 질을 유럽 수준으로 올린다면, 우리 국민소득을 감안해서, 두배 등록금이 적정 액수의 학비일 것이다. 정부로 부터의 등록금 보조를 국회에서 논의할 수 있도록 국민들이, 특히 대학생들이, 먼저 정신을 차려야 할 것이다.[…]

College tuition fee is not expensive at all.

People who went to college in the 1970s and 1980s would be familiar with the term, ‘Woo-gol-tap.’ Maybe not now anymore, but at that time university was regarded as an ivory-tower for learning. Of course, it is needless to mention that school was also a means for finding jobs at that time as well. Woo-gol-tap means a tower that was piled up by cow bones. In the country side, a cow was the biggest property of each household and the term meant to contribute the house cow to children’s college tuition fee. It means that the fee was that much for regular citizens.

At that time, 60 students studied in a classroom. Among them, 5-10 people were able to enter colleges. The average was about 15 percent. I remember the college tuition fee at that time was 200,000-400,000 won (200-400 US dollars) per semester. The amount was equal to a monthly salary for a breadwinner who works at companies with the highest 10 percent salaries. The current fee is 5 million won per semester. It means it is about a monthly salary for an employee in the late 40s or the middle 50s who work at 10 percent high salary companies.

The current problem is not just about the expensive tuition fee. In the past, the classes that were not able to go to college all go to college nowadays. There was a newspaper article showing that the number of high school graduates is less than the number of college freshmen. Of course, it is good that all people can get college education. But the current problem is how we can solve the problem of college tuition fee for students. Like European countries, the government can subsidize 70-80 percent tuition fee or support school expenses with low interest in the long term. Compared to other European countries, the amount of tuition fee per person is not that high.

Politicians should discuss how the issue of the tuition fee can be solved, not just comment that it is expensive. Many European countries treat the college tuition fee as national health insurance. Except several special private colleges, all students get benefits from the government. […]

The current president was elected with the absolute support of current college students, their parents, and relatives. But why do they blame politicians with one reason, the college tuition fee? Half price of tuition fee? Politicians always live with lies. Within this government term, we should appreciate it if the fee doesn’t go up two times more. As a matter of fact, if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wants to be at the European level, two times more expensive tuition fee would be suitable in terms of our GDP. In order to let the National Assembly talk about the subsidy of the tuition fee from the government, the college students should pull themselves together.[…]

There are two interesting arguments about how the current college students and the 386 sede [2], who are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interpret this issue and political attitudes toward each other.

28일 있었던 대학생들의 등록금 시위를 보았다. 그들에게 지지를 보낸다. 과도한 등록금에 한숨짓는 부모들을 보고 있자니 맘이 아파 거리로 뛰쳐 나왔으리라. 더이상 참지 못하고 직접 행동을 감행했으리라고 생각하지만 못내 아쉬운 생각이 드는 것은 왜일까?
대학교 “지식의 상아탑”이라고 한때는 불리던 곳이다. 지식의 상아탑이란 이름이 왜 붙여졌겠는가? 한번 생각해 본 적 있는 요즘 대학생들이 있는가? 학교는 자신의 이익만을 위해서 행동하고 말하는 곳이 아니라는 사실은 알고 있는가? 너희들과 마찬가지로 대학 생활을 했던 너희의 선배들에게도 등록금은 지금과 비슷한 고통이었다. 하지만 그 선배들은 먼저 이땅의 민주주의와 사회에 만연한 부정부패를 척결하기 위해 먼저 일어섰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지금 너희들이 말하는 등록금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도 잘 알겠다. 하지만 너희들이 등록금을 가지고 말할 자격이 있는지는 모르겠다. “지식의 상아탑”에서 예비 지식인이 되어야 할 너희들은 지난 대선에서 너희들이 욕하던 어른들과 똑같이 눈앞의 이득(일자리창출)만 보고 이명박을 선택했다. 또한 “꼬리곰탕 한그릇”에 꼬리를 잘라버린 이명박 특검에 침묵하였고, 너희들의 스승들 조차 반대하고 나선 대운하문제에도 침묵으로 일관해 오지 않았더냐?

그리고 삼성특검에 대해서는 어떻더냐? 마찬가지로 너희 자신의 이익을 고려한 침묵으로 일관하지 않았느냔 말이다. 물론 너희들의 의지에 의한 선택에 뭐라 참견하지 않겠다. 지금 너희들의 등록금 인상반대 투쟁이 잘못되었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너희들은 이미 정의보다는 개인이기주의와 자기 이득에 눈을 떠서 경제성장과 등록금 반값이라는 2MB의 공약에 부패와 비리 거짓말의 대명사인 그를 선택하지 않았느냐? 그러고서는 지금에와서야 속았다고 등록금인상을 들고 시위하는 너희들의 그 태도가 얄밉다.

자기의 이익만 챙기지 말아라! 너희들이 진정한 지식인이고 지성인이라면 행동하라!! 지금 속았다고 억울해하고 있다면, 진실이 조금이라도 보인다면, 행동에 옮겨라 4월9일 총선에서 너희들의 그 진심을 보이라는 말이다. 휴일이라고 놀러갈 생각하지말고 행동하라는 말이다.

그것이 어쩌면 거리에서 피켓들고 등록금 인상반대를 외치는 것보다 더 현실적인 방법인지 모른다. 너희들이 보는 것 처럼 등록금에 고생하시는 부모님을 위해 4월 9일 너희들이 깨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어라. 또다시 눈앞에 달콤함에 현혹되지 말고…

I saw the demonstration against the increase of the tuition fee of college students on the 28th. I support them. They must have broken out of their houses, not putting up with looking at their parents’pain due to the excessive tuition fee. I understand what they did, but why do I feel something is missing?

College was called an “ivory-tower of knowledge”before. Why was it called that? Have some university students thought about it? The school is not the place where they can ask for their own benefits and speak out for their own sake. Do they know about that? The experienced who went through college life at that time also had to suffer from the tuition fee. But those people stood up for democracy of this land and fought against the corruption. I understand the problem of the tuition fee they are talking about now. But I don’t know whether they have the qualification of speaking out. You, who should be the preliminary intellectuals in ivory-towers, chose Lee Myung Bak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only thinking of profits in your presence (creating jobs). In addition, you were silent about special investigations for Lee Myung Bak’s corruption and of the grand canal construction issue which even your professors were against.

And how about the special investigation of Samsung? Of course, you guys were quiet, considering your own benefits. I am not going to intervene into your choices. I’m not saying your struggle against the increase on the tuition fee is wrong. But you turned yourselves toward selfishness and benefits rather than justice, and chose the person who supported economic growth and half-tuition fee, and continually lied. Then now you say you’re deceived and are against the increase on tuition fee. I hate your attitude.

Don’t think about your own benefits. If you’re truthful intellectuals and eggheads, carry on. If you’re angry and sad, and you can see the truth, please take action. In the general election on the 9th of April, show your sincerity. Don’t think you’ll go for a picnic. Take action. That might be a more realistic method rather than walking on the street and shouting opposition to increasing the tuition fee. As you can see parents suffering from the high tuition fee, show you’re awake on the 9th of April. Don’t be tricked by the sweetness again…

I extracted a post [3] that talks about how people in their twenties think about the 386 sede and their perspectives toward the current college students.

글의 내용으로 미루어봐서는 386세대 선배님들이 쓰신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이런 글뿐만 아니라 예전부터 20대의 정치무관심을 질타하는 386세대들의 글은 많이 볼 수 있었죠. 그런데 막상 20대로서 이런 글 접하게 되면 화가 납니다. 물론 20대가 정치에 무관심하긴 합니다. 그러나 30-40대가 생각하는 그 정도로 막장이지는 않습니다.[…]요점은 그겁니다. ‘니들이 정치에 무관심해서 이명박 찍어놓고 이제와서 왜 이러냐. 정신차리고 총선 투표자 잘해라.’

근데 과연 이명박이 당선된 것이 20대의 탓일까요? 윗글에 보면 42개 대학 총학생 회장이 이명박 지지선언을 했다고 비난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근데 따져봅시다. 42개 대학의 대부분의 지방의 전문대였습니다. 지방 전문대의 특성상 대개 정원이 일반대학에 비해 작고, 총학생회의 그간 활동들도 정치적 영향력을 크게 발휘하는 곳이 없었습니다. 물론 몇 개 큰 대학들이 있긴 했습니다.[…] 그 대학 구성원들의 의견이 전혀 반영되지 않은 걸로 총학생회장 개인의 독단적 선언에 불과했습니다.[…] 20대의 투표성향을 보면 이명박에 대한 지지가 30대보다는 조금 높지만 40-60대 이상보다는 훨씬 작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되려 386세대가 이명박에 대한 지지율이 50%가 넘어갔습니다. 그리고 5후보중 상대적으로 진보적이고 개혁적이다라는 평가를 받았었던 문국현과 권영길에 대한 지지율은 오히려 가장 높습니다. 이 결과를 놓고 봤을때는 오히려 386세대들이 20대들에게 사과를 해야 정상인게죠.[…] 386세대가 독재정권하의 암울한 시기에 대학생활을 했다지만 적어도 그 당시 대학생은 엘리트 계층이었고, 특권의식이 존재했습니다. 그리고 취업에 대한 부담도 적었습니다. 하지만 지금 세대는 대학을 안들어가면 낙오하기에 당연스럽게 대학에 갈 것을 강요받은 세대이자 대학을 졸업해도 취직에 희망이 없는 세대입니다. 당장 대학부터 먹고 살 문제를 걱정해야 하는 시대가 된 것입니다.

40대까지도 사회운동하시는 선배들이 이런 말을 많이 하십니다. 가정을 꾸리게 되면 자기 말고 돌보아야 할 사람들이 생겨서 그때 가장 운동에 대한 고민이 많이 든다고요. 물론 그러한 고민으로 운동을 그만둔 386세대, 이해합니다. 학생운동 치열하게 했다는 것에 대해 인정하고, 그러한 삶을 평생 가져가지 못한 것에 대해서도 이해합니다. 그러나 40대에 들어서냐 해야 할 고민을 대학초입부터 하고 있다는 것 역시 알아두셨으면 합니다. 입학과 동시에 공무원 시험, 취업준비에 매달릴 수 밖에 없는 현실은 지금의 대학생들이 만든게 아닙니다. 그 이전의 기성세대들이 88만원 세대들에게 지어준 짐인 것입니다.[…]
20대를 철부지 꼬마들로 봐주시진 말 것을 정중하게 부탁드립니다. 나름의 생각을 가지고 판단할 수 있는 성인입니다. 정치에 무관심한 학생도 있고, 나라가 어찌되든 자기 한 몸 먼저 생각하는 친구들도 많습니다. 그러나 그런 사람들은 30대에도 있고, 40에도 있습니다. 20대라고 정치에 무관심하다고 신랄하게 비판하는 것… 지나치면 되려 정치를 신물나게 만들 수 있는 것입니다.

According to the content, it seems that the 386 sede (386 generations: indicating the generations who spent their college lives in the peak time of demonstrations against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in the 1980s) wrote it. Besides this writing, it’s easy to find writings from the 386 sede about criticizing the political indifference of people in their twenties. But when I see this kind of writing, I’m mad. I agree that those in their twenties are not interested in politics. But they’re not completely ignorant like the 30-40s think. Their point is this, ‘You’re ignorant of politics and chose Lee Myung Bak. And then why do you complain now? Do your best for the general election.’

But was Lee Myung Bak selected because of people in their twenties? According to the post, presidents of 42 college students’ associations announced the support for Lee Myung Bak. But most of them were vocational colleges in the countryside. Their characteristics are small numbers compared with universities and the activities of the students’ associations never influenced politics. Of course, there were several big universities[…] But it was the student presidents’ own opinions, not other students’ opinions.[…]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in their twenties’ votes, the number supporting Lee Myung Bak is higher than the 30s, but lower than the 40-60s. Rather, the ratio that the 386 sede supports Lee Myung bak is more than 50 percent. And the votes of those in their twenties that support Moon Kook Hyun and Kwon Young Kil who were progressive and reformative were much higher than any other generations. Looking at this result, the 386 sede should apologize to those in their 20s.[…] Even though the 386 sede spent their college lives in the dark period of dictatorship, the university students at that time were at least regarded as the elite and had some previledges. But the current generation is forced to go to college not in order to be losers in society, but it doesn’t give a promise to be employed after the graduation. We have to worry about how to make living from the beginning of our campus lives.

People who still do citizen activities in their 40s say this a lot. If they start their own families, they have to take care of others. That moment is the hardest time whether they have to continue the activities or not. Of course, I understand the 386 sede who gave up the activities. I acknowledge they went through student activities really hard.

However, I hope that they understand what they were worried when they are in the 40s are what we have to worry as soon as we step in colleges. As soon as we enter college, it is the reality that we have to stick to prepare civil service examinations and other tests for obtaining jobs. This reality is not what we made. It is the burden that the previous generations passed to us.[…] I ask them politely not to call people in their twenties immature kids. We are adults who can think and judge. There are students who are indifferent about politics and the nation. There are friends who think about themselves. But those people can be found in the thirties and forties. To criticize those in their twenties as being indifferent about politics… If the criticism is way too much, it could rather make them be sick of poli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