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lobal Voices - https://globalvoices.org -

Korea: Part-time Lecturers and Suicide

Categories: East Asia, South Korea, Education, Human Rights, Labor

Seoul National University [1]
Seoul National University by Stévant Bruno [2]

A series of suicides of part-time college lecturers has been covered in Korean newspapers [3].

지난달 11일 서울대 불문과 강사 박모씨(43•여)가 학교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2003년 노문과 백모 박사, 2006년 독문과의 권모 박사의 자살에 이어 서울대 인문대학에서만 세번째다. 학교 측은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이라는 입장이지만 주변에서 전하는 원인은 달랐다.

한 시간강사는 “노문과 백 박사 자살 때도 학교 측은 우울증이라고만 하고 넘어갔다”며 “이들을 죽음으로 이끈 것은 단순 우울증이 아니라 시간강사들이 처한 열악한 현실”이라고 주장했다. 숨진 박씨는 오랫동안 대학 시간강사로 일하며 학업을 계속했으나 교수 임용까지는 갈 길이 멀었다. 서울대뿐 아니라 다른 학교에서도 강의를 했으나 강의료는 턱없이 적었고, 이런 상황에서 최근 병으로 수술까지 하는 등 악재가 겹쳤다. 박씨는 결국 설연휴 직후 학교에서 목을 매 숨진 채 발견됐다.

‘캠퍼스 비정규직’ 시간강사들의 자살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달 27일에는 지방의 한 사립대학에서 시간강사를 하던 한모씨가 자신이 학위를 딴 미국에 가서 목숨을 끊는 사건까지 발생했다. 한씨는 유서에서 “보이지 않는 장애물을 넘으려고 발버둥치며 4년을 보냈다…경제적 뒷받침이 없는 상태에서 다년간 시간강사로 버티기는 불가능하다”고 시간강사의 부당한 처우와 설움을 고발했다.

우리나라 전체 대학 강의 중 시간강사들은 40%대. 그러나 강사들의 처우는 비정규직 중에서도 가장 열악하다. 다른 비정규직은 정규직 임금의 50~55%를 받지만 시간강사는 교수 임금의 3분의 1도 안된다.

시간강사들의 강의료는 국•공립대는 시간당 4만원, 사립대는 시간당 3만원 수준이다. 서울대 서양사학과에서 시간강사로 일하는 박모씨는 “지난해 2학기 주당 3시간 강의하고 월 42만원을 받았다”고 말했다.

고용 자체도 지극히 불안정하다. 사립대의 한 시간강사는 “신학기에 학교에서 전화가 오면 강의하는 거고 안 오면 계약 해지”라며 “그나마 조교가 전화해서 통보하는 식”이라고 불만을 터뜨렸다. 시간강사들의 모임인 비정규교수노조를 이끌고 있는 김동애씨(61•여)는 “강의료가 정해진 날짜에 안 나와서 경리과에 전화하면 ‘그거 몇 푼이나 된다고 귀찮게 하느냐’는 식”이라며 “이런 부당한 ”대우를 당해도 어디 하소연할 데가 없다”고 말했다.

현재 국회 교육위원회에는 대학강사 처우 개선을 골자로 하는 고등교육법 개정안이 계류 중이다. […]

Last month, a part-time lecturer (43, female) of the French Literature Department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ommitted suicide. Following two suicides-a lecturer in the Russian Literature Department in 2003 and another lecturer in the German Literature Department at the same school- it’s the third death in a human sciences department at the school. The school insists it is due to ‘depression,’ but people around them have different opinions.

A part-time lecturer said, “When those two lecturers killed themselves, the school laid the cause of death as depression and didn’t care. But what led them to suicide is not just simple depression, but the cruel reality that they face.” The lecturer who died this time had been working as a part-time lecturer for a while, but being a professor is a path that seemed to take forever. She worked as a lecturer at other schools, but the salary was low. In addition, she had another disaster as she went through a medical operation. She was found dangling by her neck at the school right after the Chinese New Year.

There are a series of suicides of part-time lecturers, ‘non-regular employees on campus.’ On the 27th of December last year, a lecturer at a college went back to the U.S. where he obtained his degree, and committed suicide there. In his will, he criticized unequal treatment toward lecturers and expressed sadness, “I spent 4 years in order to jump off an invisible barrier… Without any economic support, it’s impossible to remain as a part-time lecturer for several years.”

Part-time lecturers teach 40 percent of all college classes in Korea. But their treatment is the worst of irregular jobs. Other part-time job employees receive 50-55 percent of the salary of the same regular jobs, but part-time lecturers receive less than 1/3.

The lecture fee of the part-time lecturers at national and state universities is about 40,000 won (US 40 dollars) per hour. A lecturer who teaches western art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aid, “last semester, I taught a three hour class and received 420,000 won (US 420 dollars) per month.”

Employment is extremely unstable. A part-time lecturer at a private college said, “In the new semester, if the school calls me, then I can teach. Otherwise my contract is done. A research assistant informs us by phone.” Kim Dong Ae (62) who leads a part-time lecturer labor union said, “if the salary doesn’t come on time and I call the administration, they answer why we bug them with such tiny money. We have to put up with this unequal treatment, but nowhere can we complain about it.”

At present, the Education Committee of the National Assembly is pending a revised bill to improve the treatment of part-time lecturers.[…]

Shadow [4] shares his experience.

요새 어떤 시간강사께서 미국에가서 자살을 햇다고 한다. 참 안된일이다… 미국까지 가서 어렵게 박사 따왔는데, 교수되기는 힘들고해서…여차저차해서… Naive한 걸까? 정말 몰랐던 건가? 내 친척중엔 U of Michigan에서 박사하시고도 아직도 시간강사 하시는분 있다. (이냥반 15년도 넘은거 같은데) 나 KAIST박사다…

교수되는거 … 10번정도 츄라이하다 현재는 소강상태… 지원 안하고 있다. 실력으로는 교수가 될수없다! 가 맞는지 확인 해봣더니… 맞았다… 그래서 포기 물론 그동안 외국인 회사 다니면서 호구지책은 있었고… 배우 해리슨포드가 생각난다… 배우 오디션 보러다닐 당시 해리슨포드의 직업은 목수였다. 목수란 직업이 있었기에 그는 당당히 배우가 될수 있었다.

교수가 되기위해 시간강사를 한다는건… 필요조건도 충분조건도 될수 없다… 내 생각이다… 서울소재 모 사립대학 교수채용에서 Final에서 탈락한 경험이 있는 샤도우 씀

I heard that a part-time lecturer committed suicide in the U.S. It’s so sad. He must have received the degree after studying really hard in the U.S., but he must have faced the reality that it is difficult to be a professor…. and other matters….

Was he naïve? Or didn’t he really know? One of my relatives got a Ph.D. at University of Michigan, but he still works as a part-time lecturer (for more than 15 years). Me? I’m a Ph.D. from KAIST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To be a professor…. I tried ten times.. but now I stopped… I’m not applying anymore. It’s impossible to be a professor with your capability. I tried whether it is true or not. It was true. So for a means of livelihood, I gave up and worked at a foreign company. I thought about the actor, Harrison Ford. While he tried auditions on and on, his job was a carpenter. Because he had a job as a carpenter, he could be an actor.

To be a part-time lecturer in order to be a professor… it’s neither a necessary condition nor a sufficient condition…it’s my thought.

Shadow who has failed to be a professor at a final process of a private college in Seoul.

Harsh criticisms [5]against universities in Korea are not a few.

시간강사분이 또 자살을 했습니다.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이런생각을 해봤습니다. 과연 우린 언제부터 부정부패와 비리에 대해 저항을 하지 않고 그게 세상돌아가는 이치라는 것을 배울까요? 전 고등학교때가 시작이었습니다. 스승의날때 50대먹은 담임이 통장을 반장에게 던져주면서 알아서 넣어놓아~~ 라고 말했던 것이 기억나네요. 반장이 그 사실을 우리반 아이들에게 다 말했거든요. 그리고 대학을 갔구 대학이야 말로 비리와 부정의 온상이더군요. 후배녀석 하나는 나에게 살짝 말하더군요. 자긴 토목공하과 어떤 교수의 빽으로 들어왔다구요. 뭐 그런게 한둘이겠습니까. 대학이란 공간은 비리백화점이자 한국사회의 축소판입니다. 온갖비리들이 대학에서 터져나오고 몰상식한 일들이 많이 일어나는게 배움의 장인 대학에서 일어나다니 한숨만 나옵니다. 대학엔 시간강사들이 많습니다. 저 또한 시간강사에게 배운적이 많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떠실지 모르겠지만 저는 시간강사들이 가르치는 강의가 훨씬 듣기도 편하고 학생들과 교감하면서 수업을 진행해 아주 좋더군요. 물론 수업의 질도 좋구요. 교수들이 가르치는 전공과목들은 졸음의 연속에다가 학생들이 자던말던 자기 수업을 묵묵히 하시더군요.

뭐 그래도 월급은 나오니 그냥 진행하는듯 하기도 하구요. 그런데 시간강사는 한 강의당 4만원남짓 받습니다. 그나마 한학교에서 강의를 하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강사들은 지방과 서울을 오가면서 강의를 합니다. 점심은 버스안에서 햄버거로 해결하기도 하더군요. 교통비빼고 해서 한달에 버는돈이 1백만원남짓된다고 하니 대우는 최악인것입니다.
그래도 대학생들을 가르치는 분이신데. 이들의 신분은 비정규직입니다. 4대보험이요? 그런게 있을수 있겠습니까. 언제 짤리지도 모르는 신세인데요.

오히려 시간강사들이 가르치는 과목이 더 많은 학과도 있습니다. 한마디로 부모들은 탱자탱자 놀고 유모들이 아이(대학생)를 키우는 모습이죠. 그런 박봉에 무슨 연구를 하며 강사들이 외국학술자료를 뒤적일수가 있을까요. 최소한의 생계유지를 시켜줘야 할텐데요. 이런 고급인재들이 이런식으로 생활비도 못벌어서 자살하는 풍경은 국가적인 손해입니다….

A part-time lecturer committed suicide again. It’s a sad reality. I thought about it. When do we recognize that living to obey corruption and injustice in the world is the way to live? In my case it was my high school time. On Teachers’ Day, a 50 year old home teacher threw his passbook to a class monitor and said that students put money as much as they want. The class monitor talked about it to all students. And then I went to college. The university was a frame of injustice and corruption. A friend told me he was accepted to the school, using a professor’s power. How many more students will be accepted like this? The college is like a department store of corruption and a miniature of Korean society. All corruption is from colleges and there are so many unreasonable things going on. There are many part-time lecturers. I don’t know how you guys think, but I liked to have classes from part-time lecturers. I liked them because they led the classes to have conversations with students. Of course, the quality of the class was good. Major classes that professors led were a series of drowsiness. Those professors also continued their classes no matter how many students sleep.

They might have not cared because they get salary anyway. But part-time lecturers get 40,000 won per a class. It would be good for those part-time lecturers to have lectures in one school, but they have to move around in Seoul or other countryside. They sometimes have a hamburger for a lunch in bus. Except transportation fee, the money they earn for a month is about 1 million won (USD 1,000 dollars). The treatment is the worst. They’re people who teach college students, but their status is equal to non-regular workers. Four basic insurances? Do you think they will have those? They even don’t know when they will be kicked out. In some departments of colleges, part-time lecturers teach more classes than regular ones. It’s like parents are playing around and maids are teaching their children. With such tiny money, when can they research and when can they search for academic materials? We should let them be bread-earner at least. Such high qualified human resources can’t earn their living expenses and give up their lives. This is national damage.

But some netizens [6] approach this news in other perspectives and it shows how academic jobs can be sometimes viewed.

대학 시간강사가 자살하는 일이 종종 있다.이번에도 한명이 목숨을 끊고 나니 이래저래 말이 많다. 그런데 대학 시간강사를 비정규직과 연관짓는 언론의 관행적 기사가 너무 재미없다. 시간강사가 비정규직의 설움을 받는 것이야 거짓이 아니겠으나 그래도 그들은 교수가 되기 위해 그 동네에 발을 들인 것 아닌가. 시간강사들은 충분히 정규직이 될 수 있는 학력을 가진 사람들이다. 성공을 위해 스스로 비정규직을 택한 자들이 자신들을 비정규직 문제에 얽어 이득을 취하려는 것에 반감이 든다. 이것은 마치 고시생을 백수로 분류하는 것 같다.

그들 나름대로의 고충을 무시하려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시간강사를 할 수 있는 여건이 된다는 것 자체가 어마어마한 혜택이다. 누가 하고 싶은 일을 준비하며 시간강사 하는 것을 싫어하겠는가. 허나 보통은 먹고 살아야 해서 직장생활을 안 할 수가 없다. 시간강사가 겪는 고충은 전임교원이 되기 위한 기회비용이다. 그리고 기회비용도 명백한 비용이다. 좋은 자리에 가기 위해 스스로 겪는 고충을 스스로 비판한다는 건 옳지 않다고 본다. 대학 사회가 더럽고 어지럽다는 건 이미 다들 알고 있는 일 아닌가. 자신의 영달을 위해 모든 것을 알면서 스스로 발을 들인 길인데 그 비난을 사회로 돌리는 것은 옳지 않다.

대학과 교수 사회가 바람직하지 못해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한다면 그 자체는 얼마든지 동의하고 편들어 줄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을 비정규직 문제와 연관지어 이득을 얻고자 한다면 나는 대놓고 욕을 해줄 수 밖에 없을 것 같다. 대학 시간 강사는 시급이 3~4만원이다. 3~4만원이면 어떤 동네에서는 정규직 노동자보다 많은 급여다. 강의를 많지 하지 못하니 급여가 적은 것이지 비정규직이라 어려운 것이 아니다. 그들은 자신들이 더럽다고 떠들어 대는 대학 사회의 교수가 되기 위해 스스로 비정규직 시간강사를 택한 사람 아닌가. 교수가 되면 다른 정규직보다 더 많은 돈을 벌게될 것이고 교수가 되지 못해 쪼들리고 산다면 그건 본인이 능력도 없으면서 허영에 가득차 진로를 잘못 정한 게다. 그러니 강의가 적어 월수입이 적다면 당연히 부업을 해야 하는 것 아닌가. 이건 너무 당연한거다. 왜 보습학원 정규직 강사가 3~4만원 받는 것은 괜찮고 대학 시간강사가 3~4만원 받는것은 비정규직 인권 논란이 일어야 하는가. 그럼 고시생이 낙시하고 폐인이 되는 것은 국가고시의 제도 미비인가? 인권 침해인가? 보상을 해줘야 하는가? 난 성공을 위한 위험은 본인 스스로가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난 비정규직 문제를 폄하하려는 것이 아니다. 대학 시간강사와 비정규직 문제는 그 성격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그런 문제는 언급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의미이다. 진짜 비정규직 문제는 자기도 비정규직이고 싶지 않은데 못 배우고 힘 없어 어쩔 수 없이 힘든 인생을 사는 사람을 위해 만들어진 논의이다. 자기가 잘 살겠다고 달려든 길인데 힘드니까 언론에 은근슬쩍 묻어 이득을 취하라고 만들어 낸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우리나라에는 정규직인데도 비정규직 시간강사보다 더 힘들게 사는 사람이 훨씬 많다. 세상엔 공부가 좋고 가르치는게 좋고 성공하고 싶지만 먹고 살려고 그냥 직장생활 하는 사람이 수백배나 더 많다.

시간강사의 처우가 잘못됐다는 것. 얼마든지 주장할 수 있고 개선을 촉구할 수도 있다. 그러나 비정규직 문제와 얽으려 하는 것은 진심으로 정말 과히 보기에 안좋다.

There are frequent incidents, in which part-time lecturers at college commit suicide. This time one person gave up her life and there have been a lot of words in the media. But I don’t like the way the media approaches part-time lecturers at college to include them as part-time employees. Poor treatment of those two are true. But didn’t those part-time lecturers step in that field in order to be professors? Part-time lecturers are people having enough academic backgrounds to be able to be regular employees. For success, they chose part-time jobs. I have an antipathy against them who would like to obtain benefits to include themselves as irregular job employees. This seems to try including people who prepare the High Civil Service Examination as the unemployed.

I’m not trying to disregard the hardship that they go through. But the condition that they can be part-time lecturers is itself a big benefit. Who will dislike to prepare what they would like to be and work as part-time lecturers? But ordinary people have to be concerned about their living expenses and therefore they can’t help but to have regular company lives. The difficulty that the part-time lecturers go through is the opportunity cost in order to be regular professors. The opportunity cost is also the cost. It’s not right to criticize their own difficulties in order to obtain better positions. Doesn’t everyone know that college society is messy? For their own sakes, those people chose that path. Therefore it’s not right to turn the criticism to society.

If they would like to correct academic society, I can support them. But if they would like to obtain benefits by categorizing themselves as regular part-time employees, I can’t help but to criticize them. Part-time lecturers earn 3-40,000 won (USD 30-40) per hour. It is much more than regular laborers. The reason why they have low salary is due to a few lectures, not due to part-time employment. They know the problems and corruption of college. Didn’t they choose to be part-time lecturers by themselves? If they become professors, they will get much more money than any other full-time jobs. If they can’t be professors and have hard time to make living, that’s their faults to choose the wrong path even though they’re not capable. It’s so obvious. Why is the fact that full-time job lecturers at private institutes receive 3-40,000 won (USD 30-40) normal? But why is the fact that part-time job lecturers at universities receive 3-40,000 won (USD 30-40) regarded against human rights? Is the fact that the people who prepare the High Civil Service Examination fail the exam and become losers due to the inadequacy of the system of the national examinations or the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Do we have to compensate them? I think that the risk in order to succeed is the responsibility of that person who chose the path.

I’m not trying to look down on the problems of part-time employment. The problems of part-time lecturers at college and the general part-time employment are different issues. So I hope that they’re not mentioned together in that way. The problem of part-time employment means for people who don’t want to be part-time employment, but don’t have any choices because of the lack of learning and power. It’s not for people who decide to go through that path for their own sake and try to get some benefits using media power… There are so many full-time job employees who live tougher than part-time lecturers. There are so many people who like to study, like to learn, and like to succeed, but give up and have to be full-time job employees in companies.

Maltreatment of part-time lecturers! They can voice and ask for better treatment. But they shouldn’t really include their problems in general part-time job employment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