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High School Student and Religious Freedom

A teenager’s struggle for religious freedom over three years achieved victory this month. He was a student at a Christian high school and had to attend chapel regularly. He requested not to take the classes, but his request was turned down by the school. His fight against the school has taken three years to complete.

Gemengi summarizes the event and discusses how religion should be treated.

내가 강의석 군의 1인 시위를 처음 접한 것은 ‘시사 투나잇’에서였다. 키가 크고 바싹 마른 고등학생이 특정 종교를 강요하지 말라는 피켓을 들고 아주 분명하게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는 모습을 보면서 ‘용기’와 ‘신념’이란 것에 대해 생각했었다.
‘시사 투나잇’에서는 그의 모습을 꾸준히 취재해 방영하였다. 하지만 학교측은 그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았다. 그러자 그는 단식을 시작했다.
‘배고프면 포기하겠지!’
이게 일반 사람들의 생각이었다. 그러나 그는 목숨을 건 듯했다.
그리곤 3일간 행방불명까지 되었었다. 피골상접한 그의 모습은 차마 바라보기 힘들 정도로 망가져 있었다. 그는 자신의 주장을 접지 않았다. 강의석 군의 생명이 위태로워지자 이윽고 목사인 선생님들까지도 학교측에 신앙의 자유를 보장하라고 요구했다. 사람부터 살리고 보자는 것이다. 방송을 타고 강의석 군의 사연이 전해지자 학교에 대한 비난 여론이 들끓었고, 결국 학교는 강의석 군의 요구를 들어주는 듯했다. 그러나 그는 퇴학처분을 당했다. 그는 학교측에 퇴학 무효 소송을 걸어 승소했다. 그리곤 누구나 가고 싶어하는 서울대에 입학했다. (수시인가?)
그 후 종교 행사 강요로 헌법에 보장된 종교ㆍ양심의 자유, 행복추구권, 평등권을 침해당했다며 대광 고등학교를 상대로 소송를 내어 요번에 승소한 것이다.
이번 판결은 종교의 자유가 있는 대한민국에서 당연한 것이었다. 우리가 사랑하는 이에게서 진실을 원하듯 신도 진실한 신앙을 원할 것이다. 스스로 깨우쳐 그분의 말씀을 실천할 수 있는 참된 사람을 원할 것이다. 집단의 분위기나 개인적 이익에 휩쓸려 종교를 믿는 것은 거짓 신앙이다.

I first got to know about Kang Eui-seok’s one person strike in ‘Sisa Tonight’ (a TV program). A tall and skinny high school student held a paper saying not to force a specific religion on him. Through him, I thought about ‘courage’ and ‘faith.’ The program continued to show him, but the school didn’t take his opinion. Then he started fasting.
‘He’ll give up when he can’t put up with hunger.’ That was how we thought at that time. But it seemed that he was risking his life. Then he disappeared for three days. His figure was getting worse due to hunger. …
He didn’t give up. When his life became at risk, teachers who were pastors at the school asked the school to give him religious freedom. It was for saving his life first. They were full of criticism toward the school and finally the school accepted his demand. But later the school kicked him out. He sued the school raising a suit against the school’s decision and he won. After that, he went to Seoul National University.
This time he raised a suit against the school for infringing on freedom of religion and consciousness,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and equal rights, and he won.
This judgement is natural in a country which has freedom of religion. Like we would like to get sincerity from people we love, I am sure that God wants to have truthful belief. Recognizing oneself and following what God said would be what truthful believers do. It would be fake belief if we choose the religion due to individual profits and grouping atmosphere.

Not a few bloggers would like to share their own experiences.

소위 미션스쿨이라는 종교사학에 배정 받아 3년을 보냈다. 전통종교와 정서가 더 맞는 상황에서 기독교라는 사상은 처음 접해 본 것이다. 학교는 온통 선교위주로 짜여져 있었다. 예배. 기도, 성경시간으로 빡빡하게 짜여져 있어서 수업보다는 선교에 더 목적이 있는 것처럼 느껴졌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기독교와 정서가 맞지 않은 학생들은 예배시간이 무척 고역이었다. 꼼짝도 할 수 없는 상황에서 고개 숙이라면 고개 숙이고 일어나라면 일어나는 소극적인 행동을 보일 수 밖에 없었다. 찬송시간에 찬송가는 따라 부르지 않고 듣기만 하였다. 그러나 이런 소극적인 학생들을 학교는 내버려 두지 않았다. 성경시간에 한 사람 씩 앞으로 나와서 기도 하게 한 것 이다. 그 기도는 번호 1번부터 시작 되었다. 일주일에 한번 하기 때문에 내 차례가 될려면 한참 있어야 하는 것이다. 기독교와 정서가 맞지 않은 사람에게는 마치 도살장에 끌려 가는 소처럼 고역이 아닐 수 없었다. 그런데 그 기도 시간에 사건이 벌어 진 것이다. 약간 껄렁하고 반항적인 기질의 한 친구의 기도 시간이 되었다. 그 친구의 종교가 무었이었는지는 모르나 분명한 것은 기독교와는 정서가 맞지 않은 사람임에는 틀림 없었다. 그 친구는 교단 앞으로 나가서 많이 보고 들은 대로 ‘다 같이 기도 합시다’하고 눈을 감았다. 그런데 그 다음 말이 나와야 하는데 말은 나오지 않고 말없는 침묵 시간이 길어졌다. 그리고 그 학생은 그냥 ‘아멘’ 하고 내려와 버렸다. 갑작스런 사태에 교실은 긴장감이 감돌았다. 다들 교목의 얼굴을 쳐다 보았다. 분명히 그 학생은 교목으로부터 혼이 나고 어떻게 처벌 받을 까 하는 생각을 가진 것이다. 약간 반항끼가 있는 학생과 교목간의 일촉즉발의 상황이 몇초간 흘렀다. 그러나 교목은 더 이상 문제 삼지 않고 없던 일로 처리 하고 그 사건은 끝이 났다. 이런 영향이어서 인지 모르나 그 후에는 교단 앞으로 나와서 순번으로 하는 기도 시간은 유야무야 되었다. 과연 기도 시간에 무슨 말을 해야 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고민 아닌 고민을 해오고 있던 필자는 그 고통에서 해방 된 것이다…. 마치 군대3년 보내 듯이 어서 시간이 지나 가기를 바랄 뿐 이다. 기독교와 정서가 맞지 않는 학생에게는 청소년기가 악몽과 같은 불행한 시간이 되어 버린 것이다.

I spent three years in a mission school. The school curriculum was focused on the mission. Service, praying, and bible time gave me the impression the school was for missions rather than teaching. Under this atmosphere, students who don’t follow the Christianity had a hard time. In compulsory moments, we had to bow if the school orders and stand up if the school orders. Those students didn’t sing hymns and just listened. But the school didn’t let these passive students go. In bible time, each student had to go in front of other students and pray. This praying time started from student number 1. My turn was still not so close because it happened every week. To non-Christians, it was like a cow that is dragged to a slaughter house. Finally something happened. A friend who has a defiant tendency had his turn to pray. I don’t know what reliegion he had at that time. What I know was that he couldn’t share his feeling with Christianity. He walked toward the platform. Standing there, he started like other people commonly began, “Let’s pray” and closed his eyes. But there was nothing following. It was complete silence. And he just said, “Amen” and went back to his place. Due to the sudden event, the classroom was full of nervousness. All classmates looked at each other. We must all have thought how he would be punished. But nothing happened. Maybe because of that, the praying time by number stopped. For me who struggled over how I had to pray in front of other people, I got freedom… I hoped that the time would pass fast like three years of military service. For students who have a hard time to become Christian believers, school could be a horrible nighmare.

A blogger shared his experience of how he became a Christian at a Christian school, but not because of school chapel.

…물론 학교 측에서 적절한 해결책을 찾기가 쉽지는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최선은 아니더라도 최악의 방법을 택해야 할 필요는 없었다. 그런데 학교 측에서는 오히려 학생에게 자퇴를 권고하고, 채플 강제를 유보하겠다는 약속을 저버리는 최악을 택했다. 종교와 교육을 가장한 폭력이 얼마나 무서운지 새삼 느끼게 하는 사건이었다. 우리나라에는 자천타천 존경받는다고 하는 종교 지도자가 유독 많다. 전 세계에서 가장 크다고 하는 교회도 우리나라에는 부지기로 많다. 그런데 그 많은 교회 지도자 중에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뜻 나선 사람이 하나도 없었다는 사실이 나를 더 슬프게 했었다. 강의석 군이 제기한 소송에서 결국 법원은 강의석 군의 손을 들어주었다. ‘종교를 전할 자유보다 종교를 선택하거나 강요받지 않을 자유가 더 크고 중요하다'는 법원의 판단이었다. 지극히 상식적이고 당연한 법원의 판결이 왜 이제서야 이루어졌는지 그것이 더 답답할 뿐이다.

기독교 재단을 둔 고등학교와 대학교를 거치면서, 나는 10학기 동안 채플 수업을 받았다. 당시로서는 개인적으로 채플 수업에 대해 크게 불만이 없었지만, 채플 수업을 모든 학생에게 강요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생각을 나 역시 해보았었다. 내가 처음 고등학교에 입학 했을 때 나는 기독교 신자가 아니었다. 1학년 때의 담당 전도사님은 수업에 들어와서 불교 신자들은 손을 들어보라고 하였다. 나는 불교 신자는 아니었지만 어머니가 불교 신자이셨기 때문에 별 느낌 없이 손을 들었다. 그러자 그 분은 대뜸 나에게 ‘일 년에 절에 몇 번 가냐’고 물었다. 물론 나는 절에는 가지 않기 때문에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 전도사님은 ‘그것 봐라. 일 년에 한 번도 절에 안 가면서 무슨 불교 신자냐’고 했다. 그것으로 끝이었다. 불교 신자들이 절에 가지 않는다고 해서 불교 신자가 아니라는 논리의 근거는 무엇이며, 그것이 왜 하나님을 믿어야 하는 이유인가에 대한 그 어떤 설명도 없었다.

담당 전도사님의 그런 일방적인 종교적 우월주의와 무미건조한 종교학 강의는 내게 아무런 감흥도 주지 못했다. 채플 수업을 듣는 1년 동안에도 기독교에 대한 관심보다는 반감만 커져 갔다. 그 이듬해에 나는 결국 기독교 신자가 되었지만, 그 믿음 중에 고교 1학년 때의 전도사님이나 채플 수업에 빚진 부분은 없을 것이다. 기독교 신앙을 전파하는 가장 강력한 수단은 다른 종교와 마찬가지로 종교 정신을 올바르게 실천하는 데 있다. 내가 기독교에 대해 조금씩 관심을 기울이고 믿음을 갖게 된 것도 자기의 신앙을 생활을 통해 구체화하는 사람들을 목격하면서 부터였다. 예수 그리스도를 믿으라고 입으로만 외치는, 믿지 않으면 지옥에 간다고 겁을 주는 사람들의 외침은 믿음을 전할 수 없다. 성실하게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면서도 항상 웃음을 잃지 않고, 타인을 위해 희생하려는 이웃들을 통해 나는 신의 사랑을 알게 되었다.

…대학교의 경우와 달리 고등학교는 학생이 학교를 선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대학의 경우 자신이 선택해서 진학하는 것이고 학생은 자신이 진학하는 학교가 미션 스쿨이라는 점을 스스로 인지하고 선택하기 때문에, 신앙의 유무를 떠나서라도 채플 수업을 감내해야 한다. 하지만 우리의 현재 교육 제도 내에서 고등학교 선택권은 주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고등학생들이 종교 수업을 감내해야 할 의무 또한 없다고 봐야 한다. 기독 교리의 입장에서 보면 아니랄 수도 있겠지만, 현실 세계에서는 종교를 전파할 자유보다 더 중요한 것이 종교를 선택할 자유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하는 것이다.

Of course it must not have been easy for the school to find a solution. But they should not have chosen the worst method. The school encouraged him to quit and didn’t keep the promise that they would not force chapel. It was an event showing how scary violence based on religion and education is. There are a lot of religious leaders in Korea. We have one of the biggest churches in the world. But among those religious leaders, none of them said that they would solve this problem. It made me sad. Finally the court raised their hands toward Kang Eui-seock. The court judged ‘the freedom to choose religion and not to be forced to choose it is bigger and more important than the freedom to deliver religion.’ I hoped that this logical judgement should have been decided much earlier….

…I went through high school and university based on Christianity and had to take chapel classes for 10 semesters. During that time, I was not so miserable about taking the classes, but I also thought it was not right to force the classes on all students. When I entered a high school, I was not a Christian. In the first grade, the form missionary came to the classroom and asked the Buddhists to raise hands. I was not a Buddhist, but my mom was. So I raised my hand without any serious thought. He asked me ‘How many times do you go to the Buddhist temple?’ I couldn’t answer because I didn’t go. So he said, ‘See. Even though you don’t go to the temple, how could you say you’re a Buddhist?’ That was it. Where did he get the idea that if Buddhist believers don’t go to temple, they are not believers? Why is that the reason people should believe in Jesus Christ?

His classes and his religious chauvinism didn’t make any impression on me. While I took the classes for one year, I learned to be antipathetic rather than interested in Christianity. The next year, I became a Christian, but the belief didn’t come from the missionary and his classes. The strongest method to deliver Christianity is to practice its spirit righteously like other religious should do. The reason why I got to be interested in Christianity and started having the belief was from people who lived up to the spirit. People who cry out to believe in Jesus Christ and threaten others to go to the hell can’t deliever the belief. I got to know about God’s love through looking at Christians who do their own best without smiling and are willing to sacrifice themselves for other people….

… Compared to colleges, students can’t choose high school….high school students don’t have any choice. Therefore, high school students don’t have to put up with religious classes. Maybe it doesn’t match with Christian theory, but the more important thing than delivering religion in the real world is the freedom to choose religion. It shouldn’t be forgotten.

There are bloggers who debate the problem from theperspective of the education system.

학생의 진학권과 학교의 학생선발권이 둘다 존재치 않는 평준화 지역에서 일어난 일이다. 미션스쿨에 보낸 교육부의 책임이 존재하는 만큼 반씩부담하는 것이 옳을 듯 하다. 말로만 교육개혁 하자고 하지 말고 작은 것도 해결하지 못하는 바보들이 그 동안 교육을 말아 먹었다. 불교나 무교 혹은 유교인 학생에게 기독계열 학교로 배정해 놓은 것은 교육부의 잘못이다. 강의석군 사건은 기독교 계열 학교에서 벌어진 일이지만 불교계열 학교에서도 마찬가지 일이 일어난다. 기독계열 학교에 학생들을 배정을 할려면 기독교를 믿는 학생들을 배정을 하고 불교계열 학교에 학생들을 배정을 할려면 불교를 믿는 학생들을 배정을 하라. 종교계열 학교들이 문제가 되는 것은 학교의 학생선발권과 학생의 진학권이 없기 때문에 일어나는 일이다….

This event happened in a place with no rights for students to choose schools or for schools to choose students.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be in charge of this event. Don’t have education revolution with your mouth. Those fools who even don’t solve small matters screw education up. It is the mistake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sends students who believe in Buddhism, don’t have any religion, or believe in Confucianism to Chiristian schools. Kang Eui-seock’s scandal happened to a Christian school, but it could happen to Buddhist schools. They should send Christian students to Christian schools and Buddhist students to Buddhist schools. The reason why this kind of problem happens is because there are no rights for students and schools.

No matter what result and influence this event generates, his brevity is regarded respectful.

강의석군의 의지에 경의를 보냅니다.강요하는 종교에 굴하지 않고 이루어낸 결과입니다. 종교가 인간의 기본권을 앞설수 없슴을 잘 보여준 판례 입니다.

I show my respect to Kang Eui-seok. It generated from accomplishing to be against forceful religio. It is the new precedent that religion can’t be more important than humans’ fundamental rights.

Start the conversation

Authors, please log in »

Guidelines

  • All comments are reviewed by a moderator. Do not submit your comment more than once or it may be identified as spam.
  • Please treat others with respect. Comments containing hate speech, obscenity, and personal attacks will not be appr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