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lobal Voices - https://globalvoices.org -

Korea: To Live as ‘Samsungman’

Categories: East Asia, South Korea, Economics & Business

‘Samsungman.’
That’s a priviledged title that puts a person among Korea’s elite. It brings up ideas like ‘good brain,’ ‘deep pockets,’ and ‘most qualified husband’ (I’m not sure about the female side because I have not heard about the term, ‘best wife’ so far).
In May, a Samsungman quit that great job. The job everyone wants to have. While he left the golden gates of Samsung within a year, he put the letter why he resigned on the company web-site. The long letter of his resignation has been spread over all blogs. I summarize it below:

1년을 간신히 채우고, 그토록 사랑한다고 외치던 회사를 떠나고자 합니다.
다른 직장이 정해진 것도 아니고, 공부를 할 계획도 없지만 저에게는 퇴사가 어쩔 수 없는 선택입니다.
회사에 들어오고나서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 참 많았습니다. 술들은 왜들 그렇게 드시는지, 결재는 왜 법인카드로 하시는지, 전부다 가기 싫다는 회식은 누가 좋아서 그렇게 하는 것인지,
정말 최선을 다해서 바쁘게 일을 하고 일과후에 자기 계발하면 될텐데, 왜 야근을 생각해놓고 천천히 일을 하는지,실력이 먼저인지 인간관계가 먼저인지 이런 질문조차 이 회사에서는 왜 의미가 없어지는지..상사라는 회사가 살아남으려면 도대체, 문화는 유연하고 개방적이고 창의와 혁신이 넘치고 수평적이어야 하며,제도는 실력과 실적만을 평가하는 냉정한 평가 보상 제도를 가지고 있어야 하고, 사람들은 뒤쳐질까 나태해질까 두려워 미친 듯이 일을 하고, 공부를 하고, 술은 무슨 술인가 컨디션을 조절하면서 철저하게 자기관리를 하더라도, 도대체 이렇게 해도 5년 뒤에 내 자리가 어떻게 될지10년 뒤에 이 회사가 어떻게 될지 고민에,걱정에 잠을 설쳐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도대체 이 회사는 무얼 믿고 이렇게 천천히 변화하고 있는지 어떻게 이 회사가 돈을 벌고 유지가 되고 있는지 저로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인사팀 자신이 정한 인사 규정상의 업무 시간이 뻔히 있을진데, 그것을 완전히 무시하고 사원과의 협의나 의견 수렴 과정 없이업무 시간 이외의 시간에 대하여 특정 활동을 강요하는 그런, 신문화 데이같은 활동에 저는 좌절합니다.변혁의 가장 위험한 적은 변화입니다. 100의 변혁이 필요한 시기에 30의 변화만 하고 넘어가면서 마치 100을 다하는 척 하는 것은 70을 포기하자는 것입니다. 우리 회사 미래의 70을 포기하자는 것입니다. 더욱 좌절하게 된 것은 정말 큰일이 나겠구나, 인사팀이 큰일을 저질렀구나. 이거 사람들에게서 무슨 이야기가 나와도 나오겠구나 생각하고 있을 때에, 다들 이번 주에 어디가야할까 고민하고, 아무런 반발도 고민도 없이 그저 따라가는 것이었습니다. 하루하루 적응하고 변해가고, 그냥 그렇게 회사의 일하는 방식을 배워가는 제가 두렵습니다. 회사가 아직 변화를 위한 준비가 덜 된것은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 준비를 기다리기에 시장은 너무나 냉정하지 않습니까. 어제 오늘 일이 아닌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내일에 반복되어져서는 안되는 일이지 않습니까. 조직이기에 어쩔 수 없는 문제인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말은, 정말, 최선을 다해서, 조직이 가진 모든 문제들을 고쳐보고자 최선의 최선을 다 한 이후에 정말 어쩔 수 없을때에야 할 수 있는 말이 아닙니까. 많은 분들이 저의 이러한 생각을 들으시면 회사내 다른 조직으로 옮겨서 일을 해보라고 하십니다. 하지만 저는 어느 조직을 가던 매월 셋째주 금요일에 제가 명확하게, 저를 위해서나 회사에 대해서나 해가 된다고 생각하는 활동에 웃으면서 동참할 생각도 없고 그때그때 핑계대며 빠져나갈 요령도 없습니다.남아서 네가 한 번 바꾸어 보라고 하십니다. 하지만 저는 이 회사에 남아서 하루라도 더 저 자신을 지켜나갈 자신이 없습니다. 또한 지금 이 회사는 신입사원 한명보다 조그마한 충격이라도 필요한 시기입니다. 제 동기들은 제가 살면서 만나본 가장 우수한 인적 집단입니다. 제가 이런다고 달라질것 하나 있겠냐만은 제발 저를 붙잡고 도와주시겠다는 마음들을 모으셔서 제발 저의 동기들이 바꾸어 나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세요.
사랑해서 들어온 회사입니다. 지금부터 10년, 20년이 지난후에 저의 동기들이 저에게 너 그때 왜 나갔냐. 조금만 더 있었으면 정말 잘 되었을텐데. 말을 해주었으면 좋겠습니다. 하지만 저는 10년 후의 행복을 보장할 수 있는 유일한 근거는 오늘의 행복이라고 믿기에, 현재는 중요한 시간이 아니라, 유일한 순간이라고 믿기에이 회사를 떠나고자 합니다.
2007년 5월 2일

Filling with one year, I leave the company I shouted out my love for.
I don’t have any alternative plans, such as going to another compay or studying more.
But this is the only choice I can make now.
Since I started working here, so many things happened that I cannot understand. Why do they drink so much? And then why do they use company credit cards all the time? Why are there so many dinner engagements after work which nobody likes?
They can work hard during the working hours and can improve themselves for their own future. But why do people work so slowly, taking for granted over-time? Is the capability more important or the connection?
These kinds of questions are meaningless in this company.
In order to survive in this market, company cultures should be pliable and open-minded. They should be full of creativity and reforms. There should be horizontal relations and reward systems based on objective judgement with employees’ capabilities and achievements. Workers should work hard not to be behind, should study hard, and control themselves from drinking… all these efforts don’t guarantee the company’s future five or ten years later.
But why on earth does this company change so slowly? How is it possible for this company to earn money and retain it with that attitude? I don’t understand. There are working hours the company promised. But I am desparate whenever I run into extra activities, such as ‘new culture day,’ which is forced on employees without any discussions or compromise. The most dangerous enemy of the reform is the small change.
In the period which we need 100 percentage revolution, we do 30 percent and pretend it is 100 percent. It means they give up 70 percent. What makes me more desperate is other employees who follow without any objections….
I am afraid of myself who would adjust to this system day by day…
I don’t have the knack for evading these unnecessary activities or to join them with a smily pretence. Some say that I can change the company if I’m that unsastified with it. But I don’t have any confidence to keep myself here….

His letter divided bloggers into two kinds, those who agree and those who disagree.
Here is the opinion of someone who agrees [1]:

삼성맨이 사직서를 냈다. 입사 1년차의 피가 끓는 심정으로 사직서를 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삼성맨의 이야기는 남의 이야기가 아니다. 나의 이야기였고, 수많은 젊은 청년들이 고민하는 주제일 것이다. 삼성에 입사하기 위해 얼마나 노력을 했을 것인가? 꿈을 꾸었을 것이고, 인생을 설계했을 것이다. 입사 1년차 때는 여러가지 고민을 하게 된다. 특히 사회초년생일 경우는 이제껏 살아왔던 환경과는 너무 판이한 문화에서 생기는 갈등과 고민을 수반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그때의 시각과 시선은 정확하고 객관적일 가능성이 높다. 아직은 때가 덜 묻었기에…조직으로 보자면 어린아이의 눈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대부분의 기업은 신입사원의 순수한 열정과 당돌함을 무너뜨리기 바쁘다. 신입사원 교육부터 기를 죽이는 교육이 대부분이다. 이놈들아 사회란 이런거야…조직이란 이런거야..그러니까 잘 적응해..뭐..대충 그딴 식이다. 겉포장은 화려하지만, 궁극적인 교육의 담론은 조직적응 훈련이다. 22세기에는 이런 교육행태를 굴종이라고 표현할 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는 자랑스럽게 그런 교육을 받기 위해 너무나도 열심히 공부하고, 정성스레 머리를 다듬고, 예쁘게 얼굴에 화장을 한다.
입사 1년 후의 과정은 대부분 조직에 적응하는 시기다. 때맞추어 나오는 월급이라는 게 참으로 끊을 수 없는 유혹이다. 그리고 연애하고 결혼하고 애가 생기고…당연히 월급은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 자리잡게 된다. 개인의 삶이 월급에 묶이는 것이다.
그렇다고 월급쟁이가 비겁하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들의 삶의 형태가 이렇게 되어 있다. 그것을 우리들은 너무나 잘 알기 때문에 알면서도 적응하고 사는 것이지, 몰라서는 아닐 것이다. 그리고 그런 삶이 무겁기도 하고, 때론 견디기 힘들기도 하다. 그래서 술을 퍼마시고,,40대, 50대에 돌연하게 횡사하게 된다. …
입사1년차 삼성맨의 사직서..당돌함이 마음에 들고, 용기가 마음에 든다. 젊은이답고, 패기가 넘쳐 흘러서 좋다. 조직에 너무 신이나서 적응하는 친구들, 그렇게 마음에 들지는 않는다. 적응하는 사람도 있고, 뛰쳐 나오는 사람도 있어야 한다. 그런데 우리는 너무 적응하는 친구들이 압도적이고, 그런게 당연한 문화였다. 아무리 삼성이고 판검사고 의사라고 하더라도 우리는 그 자리를 박차고 당돌하게 뛰쳐나오는 사람이 더 필요한 사회일지 모른다.

Samsungman resigned. He must have left his letter of resignation with tears of blood. But it’s not just a story of the Samsungman, but could be our own stories. It was my story. It could be all other young people who just stepped into society. He must have made efforts in order to get a job at Samsung. He must have had his own dream and planned his future. In the year of entering the company, everyone has a hard time. Especially in the case of rookies, they encounter conflicts and worries due to different ‘cultures’ which they had not had before. The perspectives that they have at that moment would be more objective because they’re more naïve at that time. Inside the system, they have children’s transparent eyes.
But enterprises in our society are busy to break rookies’ passion and courage. “This is society… this is the system… so you should adjust well…” they say. The main point is to train them to adjust to the system. In the 22nd century, this kind of the system could be regarded as submission. But now we study hard, trim our hair, and have beauty care for our appearance in order to survive.
After the one year adjustment in the company, it is time to adjust to the system. It is really hard to avoid the temptation of the monthly salary. And then… you date, marry, and have children… Of course, salary become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your life. Humans’ lives are tied to the salary.
That doesn’t mean that salary men are all cowards. This is the process of life. We know about this so well. Then we recognize life is heavy and sometimes it is hard for us to endure. So we drink… and then die in the 40s and 50s.
The letter of resignation from the one year old Samsungman. I adore his bravity and boldness. I like his prowess. People who adjust to the system so well… They’re unlikable. There should be various people who adjust to it or those who jump out of it. But our society is mainly managed by the former. Maybe we need more people who can bravely leave no matter they are Samsungmen, lawyers, or doctors.

Dissenters, like resist75 [2], are not a few either.

상사맨들 술 참 많이 마십니다. 하지만 그것을 탓하기가 참 힘듭니다. 상사맨들이 연구직이라면 상사맨들이 관리직이라면 술만 퍼마시는 조직에 대해 욕해줄 수 있겠지만 상사맨은 그럴 형편이 아닙니다. 접대문화가 달라져야 한다고요? 예 그렇죠 하지만 그것은 상사맨들에게는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상사맨이 바뀌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접대인들이 바뀌어야 하는 것이겠지요. 상사맨은 물건을 이리저리 파는 사람이지 사회 문화 변화를 주도하는 세력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어찌되었건 간에 위의 글에는 그런 모습을 자신이 바꿀 생각도 의욕도 없다는 것이군요. 자신이 자유롭기 위해 자신이 원하는 회사의 모습이 아니기 때문에 그만둔다는 것 아닌가요? 결국 이것은 조직부적응이라는 말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입니다. 삼성에 입사했을때 TV에서나 보는 그런 장면들을 생각했었나요? 다른 사람은 모두 이상속에 사는 것 같은가요? 경찰은 범인을 잡기위해 스릴과 모험을 즐기는 것 같습니까? 소방관은 매일매일 힘들지만 인명구조를 위해 자신의 몸을 바치고 있는 것 같습니까? 그런것들은 그의 직업 인생에 극히 일부분일 뿐 대부분의 시간은 위의 삼성맨이 생각하는 별것 아니고 따분하며 변화없는 생활속에 있는 것입니다.

Samsungman… they drink a lot. But it is hard to blame them. If they work as researchers or managers, it’s fine to blame their drinking culture. Don’t we have to blame reception culture (jeop-dae mun-hoa) rather than them? It’s not that Samsungman should change, but that reception culture should change. They are the people who sell their products here and there, not the people who lead to change society and culture.
Anyway in terms of his writing, it seems that he is not even willing to fix the problems he mentioned. Doesn’t his letter indicate the reason why he quits is because it is not the company he dreamed and he just wants to be free himself? Simply, it means that he just could not adjust to the system. Did he fantasize Samsung which he saw in media? Do other people all live in ideology like that? Do you think that policemen enjoy thrills and adventures in order to catch criminals? Do you think firefighters devote their lives in order to rescue people? Those kinds of moments are just mere parts of their lives.

해서 저로서는 결국 자기가 할 생각도 없고 적응하기도 싫으니 난 회사를 때려 친다는 치기어린 생각을 그럴듯 하게 포장한 사례로 밖에 생각되지 않습니다.

To me, it seems that he didn’t want to work there and didn’t want to adjust to the company at all, and as a result he quit, like a childish behavior.

Some bloggers, like wo3n [3], criticize his rash decision with one year working experience.

저는 그 글을 보면서 슬픔과 분노를 동시에 느꼈습니다. 글의 어떤 부분에서는 고개를 끄덕였습니다. 그 분이 몸 담았던 관계사만이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가 자각 없이 그냥 흘러가고 있는 부분에 대한 사회 초년생으로서 할 수 있는 지적이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인생에 쉬운 길만이 있지는 않을 것인데, 그 정도의 어려움에 너무도 빨리 뜻을 접고 만 것이 슬펐습니다.
분노를 느낀 것은 나 아니면 모두 틀렸다는 식의 태도였습니다. 퇴사하는 본인은 진흙탕이 싫어서 나가는 깨끗한 사람이고 남아있는 사람은 목구멍에 풀칠이나 하려고 현실과 적당히 타협하면서 그럭저럭 주어진 삶이나 살아가려는 ‘월급쟁이'에 불과하다는 것인지. 그가 소속되었던 회사를 윤리수준이 낮은 집단으로 정의해 버린 그의 글은 한때는 선배,동료였던 이들에 대한 모욕이라고 생각되었습니다.
판단은 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 집니다. 큰 조직에서는 1년도 채 안된 신입사원에게 회사의 의도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을 수도 있고, 전달되었다고 해도 이해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가지고 있는 정보의 양과 깊이에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Reading his letter, I felt sadness and anger at the same time. I agree with some parts of his writing. He made appropriate indications about society as well as the company he worked. But I was sad that he gave up so fast. Life does not have easy paths all the time. The reason why I felt angry was his attitude that everyone is wrong except himself. He identified himself as an upright person who quit the company in order to avoid dirty mud and regarded others as salarymen who compromise with the real world in order to make easy lives. His writing is insulting to other co-workers who have worked for years and entered the company with him. Judgement is based on information. He has worked there less than one year. What the company looks for could not have been conveyed to him enough. Or he even didn’t understand. The understanding is from the quantity and depth of information.